번역 관리 자동화의 핵심, TMS 도입 가이드 (중소기업·대기업 기준별 비교) [1편]

보이스루
2025-07-02



콘텐츠 글로벌화의 가속, TMS 없이는 불가능

콘텐츠 글로벌화가 가속화되면서 기업들은 빠르고 정확한 현지화 및 번역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고 있습니다. 글로벌 시장에서 콘텐츠의 성공 여부는 얼마나 자연스럽고 효과적으로 현지 언어로 전달되는가에 달려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수많은 언어로 콘텐츠를 일일이 관리하고 번역 품질을 유지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 바로 이 지점에서 번역 및 현지화 관리 시스템, 즉 TMS(Translation Management System)의 중요성이 강조됩니다.

TMS는 콘텐츠 번역 및 현지화 과정을 중앙에서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품질과 일관성을 유지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기업 규모나 사업 성격에 따라 TMS 도입 시 고려해야 하는 요소가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오늘은 TMS의 개념과 역할을 명확히 이해하고, 시장에서 주목받는 솔루션과 실제 사례 분석을 통해 각 기업의 상황에 맞는 선택 기준을 알아보겠습니다.


TMS란 무엇인가?

번역 관리 시스템(Translation Management System, 이하 TMS)은 기업의 번역과 현지화 업무를 자동화하고 품질을 높이기 위한 핵심 플랫폼으로, 반복적인 번역 작업을 자동화하고 워크플로우를 효율화하여 번역 품질을 향상시키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과거에는 “글로벌화 관리 시스템(GMS)”으로 불리기도 했으며, 콘텐츠 번역 프로세스를 시작부터 끝까지 중앙에서 관리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기업이 TMS를 도입하면 다양한 언어로 진행되는 번역/현지화 작업 전체를 한눈에 모니터링할 수 있어 번역 품질과 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여러 언어로 웹사이트나 제품 정보를 제공해야 하는 경우 TMS를 통해 번역 자산(번역 메모리, 용어집 등)을 중앙 관리하고 번역가 할당, 진행 상황 추적, 품질 검수 등의 과정을 자동화함으로써 효율성과 정확성을 크게 높일 수 있습니다. 요약하면 TMS는 번역 프로젝트 관리 기능과 CAT(Computer-Assisted Translation) 도구 기능이 통합된 플랫폼으로서, 기업의 글로벌 콘텐츠 현지화 전략의 핵심 허브로 활용되는 시스템입니다.


시장에서 많이 사용되는 대표적인 TMS 세가지

Smartling

스마트링은 기업이 TMS 도입 시 고려할 수 있는 대표적인 클라우드 기반 번역 관리 시스템으로, 특히 웹 콘텐츠를 간편하게 현지화할 수 있는 프록시 번역 기능이 강점입니다. 번역 메모리(TM), 용어집 관리, 실시간 컨텍스트 미리 보기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여 번역 품질과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자동화된 워크플로우를 통해 번역 일정을 단축시켜 줍니다. 또한 기존 CMS(콘텐츠 관리 시스템)와 마케팅 자동화 플랫폼 등과도 매끄럽게 연동되어, 콘텐츠를 끊김 없이 가져와 번역한 후 다시 내보낼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Smartling은 글로벌 시장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포스퀘어, IMVU, 스크리브드, 서베이몽키 등 유명 IT 기업들이 다국어 서비스 운영을 위해 이 솔루션을 도입한 바 있습니다. 한국에서도 다국어 웹사이트를 운영하거나 해외에 앱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들이 Smartling과 같은 클라우드 TMS를 통해 빠르고 효율적으로 콘텐츠 현지화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Phrase (구 Memsource)

프레이즈는 처음부터 클라우드 기반으로 개발된 대표적인 TMS 솔루션으로, 파일 기반 문서 번역부터 소프트웨어 스트링 현지화까지 폭넓게 지원하는 통합 플랫폼입니다. 번역 메모리와 용어집, 자동 품질 검사와 같은 CAT 툴의 핵심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번역 프로젝트의 상태 추적, 번역가 협업 관리, 견적 및 비용 관리 기능까지 종합적으로 제공합니다. 특히 사용자 친화적인 웹 인터페이스와 강력한 API를 제공하여 기업의 내부 시스템과도 손쉽게 연동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다양한 기계번역(MT) 엔진을 통합하고, 콘텐츠와 언어쌍에 따라 가장 적합한 엔진을 추천하는 AI 기반 기능까지 선보였습니다. 이런 특성 덕분에 프레이즈는 전 세계 번역 에이전시와 기업에서 널리 채택하고 있으며, 아마존 웹 서비스나 쇼피파이 같은 글로벌 기업들도 이를 통해 대규모 다국어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로컬라이제이션 전문 업체 및 글로벌 진출을 목표로 하는 다양한 기업들이 프레이즈를 활발히 활용 중입니다.

Transifex

트랜시펙스는 소프트웨어와 디지털 콘텐츠 현지화에 특화된 클라우드 기반 TMS로, 개발자 커뮤니티에서 출발하여 오픈 소스 프로젝트의 번역 관리 도구로 이름을 알린 솔루션입니다. UI 문자열의 지속적인 업데이트와 배포가 잦은 소프트웨어, 앱, 게임 분야에서 특히 유용하며, 개발 워크플로우에 통합할 수 있는 CLI 툴, API, GitHub 연동 기능 등을 통해 지속적 로컬라이제이션을 지원합니다. 협업 번역 환경에 강점을 지닌 Transifex는 전 세계 번역자들과 개발자들이 동시에 참여하는 크라우드소싱 프로젝트에도 적합하며, 번역 메모리, 용어집, 품질 관리 기능을 통해 일관된 번역 품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웹 프록시 기반의 번역 기능을 제공하여, 기술적으로 번역 추출이 어려운 웹사이트도 별도 개발 없이 손쉽게 현지화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트랜시펙스는 글로벌 스타트업과 IT 기업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소프트웨어를 다국어로 서비스하는 스타트업들이 이를 도입해 앱과 웹의 다국어 업데이트를 자동화하는 사례가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1편에서는 TMS가 무엇인지, 콘텐츠 글로벌화에 왜 필요한지 알아보고 가장 많이 쓰이는 대표 TMS 세 가지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2편에서는 중소기업 및 대기업의 관점에서 바라본 TMS 도입의 필요성과 고려 요소를 확인해 보고 이를 활용하는 전략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번역 관리 자동화의 핵심, TMS 도입 가이드 (중소기업·대기업 기준별 비교) [2편] 에서 이어집니다

(주) 보이스루

서울특별시 강남구 강남대로 374, 10층(역삼동, 케이스퀘어 강남2) 
대표자명 : 이상헌  |  사업자 등록번호: 342-88-01221 
고객센터 : 02-6203-4800

Copyright ⓒ 2025 Voithru All rights reserved.

Family Sites
Contact
문의 가능 시간 : 10시~19시
번역 문의 : 070-8820-3116

기업 번역 문의 : sales@voithru.com  

사업 제휴 문의 : business@voithru.com
번역가 채용 문의 : vendor.hr@voithru.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