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루 ‘프로덕트 디자이너’가 하는 일

보이스루 피플팀
2022-04-11
조회수 1101

보이스루 프로덕트 디자인을 심미적인 관점에서 보자면, 타 서비스들과 분명히 다른 점이 있습니다.

번역가를 위한 작업 프로덕트 ‘토투스’는 모든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이커머스 플랫폼에서 접하는 산뜻하고, 화려해 보이는 디자인이 중요한 달성 목표는 아니에요.
번역가와 작업물을 매칭 해서 관리해주고, 번역가들이 쉽게 작업할 수 있는 토투스 프로덕트이기에 더욱 더 그러합니다.



더 설명하기에 앞서 번역 산업에 대해 먼저 간략히 설명드릴게요.

문화 콘텐츠 번역 산업은 꽤 오랜 기간 동안 IT Transformation 이 더디고, 노동 집약적 프로세스에 의존하던 대표 산업 중 하나였습니다. 이런 환경이다 보니, 번역 스펙이라는 것을 정의하기도 어려웠고, 특히 콘텐츠 번역은 작업도 자동화되기 어려운 부분이 많았고요.

그렇게 현상 유지해 오던 번역 프로세스를 유저 친화적으로 풀어내는데 큰 도움을 주고 계신 분들이 바로 ‘보이스루 프로덕트 디자이너’ 입니다.

프로덕트 디자이너분들은 보이스루 프로덕트별 Product Owner 또는 Product Manager 들과 함께 제품 및 서비스의 기획 단계부터 고민하고 이를 디자인 관점에서 구현하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보이스루는 문화 콘텐츠 번역 시장의 문제를 해결해 자동화된 프로덕트와 서비스로 혁신하고 있는 스타트업입니다.
이 미션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그간 IT 플랫폼에 익숙하지 않던 일련의 행위들이 잘 구현되어야 했고,
무엇보다 다양한 언어를 사용하는 번역가들을 위한 “직관적인 서비스 설계”가 중요했습니다.
그 대표적인 프로덕트가 바로 토투스(totus)이고, 클라우드 소싱 프로덕트입니다.

보이스루 프로덕트 디자이너와는 어떤 일을 하나요?

목표에 맞춰 문제를 해결하는데 포커스를 맞춰 일합니다.

디자인 작업에 앞서 배경이 무엇인지 살피고 현재의 문제점이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이 가장 처음에 순서이고요.
배경에 맞는 가설을 세우고, 기대효과에 대해 PO와 함께 심도 깊게 논의합니다.
이 때는 무엇보다도 고객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을 자유롭게 얘기하는데 집중하며 이야기를 나누게 됩니다.
간혹 필요에 따라 현황과 추후의 결과지표 데이터를 Tech 조직인 Data Science팀에 요청하여 PO와 함께 면밀히 살펴보기도 합니다.
마지막으로는 설계 리뷰와 개발 F/U 및 QA 회고 등 전반적인 사이클을 함께 참여하게 됩니다.


토투스 어드민 화면 예시



보이스루 프로덕트 디자이너는 어떤 역량이 가장 중요하다고 여기시나요?

본인의 역할에 대한 전문성으로 전체의 결과물에 기여하는 것과 문제 해결 능력입니다.
이 부분을 위해서는 개인의 전문적인 역량뿐만 아니라 팀 전체의 작업물에 그 역량을 어떻게 최대한 합쳐내는지에 대한 부분이 모두 포함됩니다.
이런 역량은 디자이너뿐만 아니라 어떠한 역할이든 함께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보이스루 프로덕트 매니저 및 개발자 간의 협업에 있어서는 어떤 툴을 이용하고 있나요?

피그마, 스케치, 제플린, 노션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보이스루 프로덕트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보이스루의 프로덕트를 이용할 참여자들은 보통 정의하는 customer와 user의 개념과는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크라우드 소싱을 기반으로 하는 프로덕트로서 번역 의뢰자의 비즈니스 파트너이자 번역가의 커리어 파트너라고 생각합니다.
짧은 호흡에서의 전환, 사용 편의성보다는 긴 호흡에서 함께 성장하는 방향을 바라보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보이스루에 프로덕트 디자이너에 지원하려면, 셀러 페이지가 있는 플랫폼 경력은 필수인가요?

필수 아닙니다! 오해입니다.

보이스루의 프로덕트는 크라우드 소싱을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참여자들은 보이스루에서 일을 하고 경력을 쌓고 경제활동을 하게 됩니다.
그만큼 각 참여자들의 사용환경이 다양하고 민감하기 때문에 이를 세심하게 고려하는 것이 정말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면에서 유사한 서비스 모델로 예를 들어 언급된 부분입니다.

어떤 동료와 함께 일 하기를 기대하시나요?

보이스루 프로덕트를 깊이 이해하는 것, 다양한 역할의 팀원들과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것,
마지막으로 디자인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갖춰서 생산성까지 고려되면 정말 좋을 것 같지만
역시 제일 중요한 것은 하나의 팀으로 함께할 수 있는 동료입니다.

0 0